문학

동짓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문학 작품 분석 2024. 10. 11. 17:41

동짓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이해와 감상]

추상적 시간을 구체적 사물로 형상화하여 임을 기다리는 마음을 드러낸 시조이다.

 

 

[작품 보기]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춘풍 니불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현대어 해석
동짓달 기나긴 밤의 한가운데를 베어 내어,
봄바람처럼 따뜻한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정든 임이 오시는 밤에 굽이굽이 펴리라.

 

 

[작품 분석]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① 동짓달 기나긴 밤 : 임 없이 보내는 외로운 시간 / 임이 부재하는 부정적 시간

②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 베어 낸다라는 표현을 통해 추상적인 시간을 구체적 사물로 형상화하고 있음

③ 시간은 자를 수 없는 것인데도 잘라 놓는다고 표현함으로써 추상적인 시간을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화함

④ 동짓달 밤이 긴 것은 사실이지만 여기서는 임이 오시지 않는 밤이기에 더욱 길게 느껴지는 것이며, 외로움을 줄이고 싶다는 뜻을 표현한 것임

 

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① 춘풍 니불 : 봄바람처럼 따뜻한 이불

② 서리서리 : 음성상징어(의태어) / 우리말의 묘미를 잘 살린 표현 / 참신한 발상

③ '서리서리 너헛다가'라는 표현을 통해 추상적인 시간을 구체적 사물로 형상화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① 어론 님 : 정든 임

② 어론 님 오신 날 밤 : 정든 임과 함께 지내느라 짧게 느껴지는 밤

③ 구뷔구뷔 : 음성상징어(의태어) / 우리말의 묘미를 잘 살린 표현 / 참신한 발상

④ '구뷔구뷔 펴리라'라는 표현을 통해 추상적인 시간을 구체적 사물로 형상화

 

 

[핵심 정리]

① 화자 : 임을 기다리는 이

② 상황 : 임의 부재

③ 성격 : 낭만적

④ 주제 : 임을 향한 절실한 그리움

⑤ 갈래 : 평시조

⑥ 특징

  • 관념적 대상을 구체적인 사물처럼 표현함
  • 계절적 배경을 활용하여 시적 상황을 나타냄
  •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정을 비유적으로 형상화
  • 행동의 대조 (서리서리 너헛다가 ↔ 구뷔구뷔 펴리라)
  • 주된 심상 : 시각적 심상을 통해 기다림의 간절한 심정을 형상화
  • '서리서리'와 '구뷔구뷔'의 반복표현, '넣다'와 '펴다'의 의미상 대립, '기나긴 밤'을 마음대로 넣고 편다는 상상력들이 어우러져 의미와 소리 양면에서 리듬감을 자아냄
  • 4 음보의 반복으로 운율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