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사시사 - 윤선도
어부사시사 - 윤선도
[작품해제]
이 작품은 작가가 65세 때 보길도에서 한적한 나날을 보내면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을 각각 10수씩 노래한 총 40수의 연시조이다. 계절의 변화에 따른 자연의 모습과 어부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각 계절의 10수는 출항에서 귀항까지의 어부의 하루 일과를 시간 순서대로 읊으면서, 세속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며 자연과 합일을 추구하는 삶의 경지를 그리고 있다. 이 작품은 문학 작품의 내용 및 주제, 시조의 형식, 다양한 언어 수사와 우리말의 아름다운 표현 등 문학의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진 작품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다.
[춘사 4]
우는 거시 벅구기가 프른 거시 버들숩가
이어라 이어라
어촌 두어 집이 냇 속의 나락 들락 (원경)
지국총지국총 어사와 ↓
말가한 기픈 소희 온갇 고기 뛰노나다. (근경) , 역동적이며 활기찬 이미지
[현대어 풀어] 우는 것이 뻐꾸기인가 푸른 것이 버들숲인가? 노를 저어라 노를 저어라 어촌의 두어 집이 안개 속에 나왔다가 들어갔다가 찌그덩 찌그덩 어기여차 맑고 깊은 못에 온갖 고기가 뛰어노는구나. |
▶ 어촌의 아름다운 풍경
[하사 2]
년닙히 밥 싸 두고 반찬으란 장만 마라.
닫 드러라 닫 드러라
청약립은 써 잇노라(푸른 갈대로 만든 삿갓) , 녹사의 가져오냐 (풀로 엮은 비옷, 도롱이)
지국총지국총 어사와
무심한 백구는 내 좃는가 제 좃는가 (물아일체, 자연 친화)
[현대어 풀이] 연잎에 밥을 싸 두고 반찬은 장만하지 마라. 닻 올려라 닻 올려라 대삿갓은 이미 쓰고 있노라, 도롱이는 가져왔느냐? 찌그덩 찌그덩 어기여차 욕심 없는 흰 갈매기는 내가 쫓는 것인가, 제가 (나를) 쫓는 것인가? |
▶소박하고 물아일체 된 삶의 즐거움
[추사 2]
수국(바다)의 가을히 드니 고기마다 살져 읻다(가을의 풍성함과 여유로움)
닫 드러라 닫 드러라
만경징파(한없이 넓고 맑은 파도)의 슬카지 용여 하쟈 (시적 화자의 여유로운 태도가 드러남)
지국총지국총 어사와
인간(인간세간)을 도라 보니 머도록 더옥 죠타 (속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자연에 대한 몰입)
[현대어 풀이] 바다에 가을이 드니 고기마다 살쪄 있다 한없이 넓고 맑은 파도에서 실컷 느긋한 마음으로 여유 있게 놀자 인간 세상을 돌아보니 (인간세상과)멀수록 더욱 좋구나 |
▶ 속세를 떠나 사는 어부의 즐거운 삶
[동사 4]
간밤(지난밤)의 눈 갠 후에 경믈이 달랃고야(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경치 - 온 세상이 눈에 덮임)
이어라 이어라 (노를 저어라)
압희는 만경유리(끝없이 잔잔한 파도) 뒤희는 천첩옥산(첩첩이 눈 덮인 산) , 대구법· 은유
지국총지국총 어사와
선계인가 불계인가 (이상세계) 인간 (속세)이 아니로다 대조
[현대어 풀이] 간밤에 눈이 그친 후에 자연 경치가 달라졌구나 노를 저어라 노를 저어라 앞에는 넓고 맑은 바다, 뒤에는 겹겹이 둘러 있는 눈 덮인 산 찌그덩 찌그덩 어기여차 신선의 세계인가, 부처의 세계인가, 인간 세상이 아니로구나 |
▶ 눈 덮인 어촌의 아름다움
[핵심 정리]
갈래 | 평시조, 연시조 (전 40수) |
성격 | 한정적, 자연 친화적 |
주제 | 계절에 따른 자연의 경치와 어부 생활의 흥취 |
특징 | - 언어의 조탁이 뛰어남 - 우리말과 한자어의 세련된 혼용이 두드러짐 - 시간의 흐름(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상 전개 - 대구법, 은유법, 반복법 등 다양한 표현 방법 사용 - 계절감이 드러나는 소재를 활용하여 계절의 멋과 흥취를 살림 - 사계절의 자연에서 살아가는 어부의 삶을 표현함 |
[여음구의 특징과 효과]
① 초장과 중장 사이의 여음구
- 출항부터 귀항까지의 과정을 순서대로 보여 줌
- 작품을 유기적으로 연결함
- 춘하추동 각 사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 이어라(저어라), 배 세워라, 배 띄워라, 닻 올려라, 닻 내려라, 배 매어라 등과 같은 여음을 통해 출항에서 귀항까지의 과정을 보여 주며, 이는 각 계절의 10 수마다 동일하게 반복됨
② 중장과 종장 사이의 여음구
- 노 젓는 소리와 노 저을 때 외치는 소리를 의성어로 나타낸 것으로 작품 전편에 걸쳐 일정하게 나타남
- 지국총지국총 : 노를 저을 때 나는 나무 마찰음 소리
- 어사와 : 외치는 소리를 음차 한 것, 어여차
- 작품에 사실감을 부여하고 흥취를 북돋움
- 평시조의 단조로운 흐름에 변화를 줌
- 어부 생활의 흥겨움과 생동감을 느끼게 하고 시상 전개에 사실감을 부여함
③ 여음
- 뜻 : 여음은 조흥구와 후렴구를 포함하며, 시나 노랫말에서 가사의 앞, 가운데, 뒤에 위치하여 의미 표현보다는 감흥과 율조에 영향을 미치는 어절이나 구절을 이르는 말이다.
- 종류 : 악기의 소리를 모방한 의성어, 감동적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감탄사, 뜻이 들어 있는 어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