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 정지용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그리던 고향에 돌아왔지만 옛날의 고향이 아님에 대한 무상감을 노래하고 있다. 여기서의 고향은 옛 시절의 꿈과 소망을 간직한 고향이다. 따라서 화자가 화자가 고향을 상실했다는 것은 실제의 고향이 사라졌다는 의미가 아니라 자신이 간직했던 삶의 의미가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타향에서 살고 있던 화자는 고향을 그리워하며 찾아온다. 그러나 고향은 자신이 어려서 보았던 모습을 상실하고 있다.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꾸기가 철이 되어 울고, 풀피리와 하늘은 예전처럼 존재하고 있지만, 화자는 이제 풀피리 소리가 나지 않는 것처럼 고향을 잃어버린 상실감에 젖어 있다. 자연적 모습은 변함이 없지만 화자의 마음속의 고향은 변한 것이다. 시대적 배경을 고려할 때, 화자의 마음속에 고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조국의 상실로 이해할 수 있다. 자연은 같은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만, 나라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예전의 모습으로 인식되지 않는 것이다.
[작품 분석]
[1연]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
①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 반복을 통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 강조 / 물리적 공간의 고향
②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 마음속에 품고 있던 고향의 모습
/ 영탄적 어조를 통해 실망감을 나타냄 / 감정의 극대화, 깊이 있는 표현
▶ 1연의 내용 : 돌아온 고향에서 느끼는 상실감
[2연]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꾸기 제철에 울건만, |
① 산꿩, 뻐꾸기 : 변함없는 고향의 자연
② 뻐꾸기 제철에 울건만 : 청각적 심상
▶ 변함없는 고향의 정경
[3연]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
①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 화자의 마음 속에 더 이상 '고향'이라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음 / 화자의 인식 변화
② 머언 : 시적 허용
③ 구름 : 은유법 - 고향에 머물지 못하고 방황하는 화자의 마음을 구름에 빗대어 표현(객관적 상관물)
▶ 고향을 잃고 떠도는 화자의 처지
[4연]
오늘도 뫼 끝에 홀로 오르니 흰 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
① 오늘도 뫼 끝에 홀로 오르니 : 산 위에 혼자 오르는 것을 통해 화자의 외로운 모습을 나타냄
② 흰 점 꽃 : 변함없는 고향의 자연 / 시각적 이미지
③ 인정스레 웃고 : 의인법
▶ 변함없이 반갑게 맞아 주는 고향의 자연
[5연]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
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 : 청각적 심상을 통해 변해 버린 화자의 모습을 나타냄
② 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 미각적 심상을 통해 마음속 고향 상실에 대한 씁쓸함을 드러냄
▶ 어린 시절 정겨운 추억을 찾을 수 없는 고향
[6연]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
① 고향에 고향에 : 반복법 - 상실감 강조
②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 고향에 대한 상실감으로 거리가 멀게 느껴짐
▶ 다시 돌아온 고향에서 느끼는 상실감과 허망함
[핵심 정리]
① 갈래 : 자유시, 서정시
② 성격 : 낭만적
③ 어조 : 상실감에 젖은 허탈한 어조
④ 주제 : 고향에 돌아와 느낀 상실감
⑤ 특징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와 비유적 표현 사용
-고향 상실감으로 비탄에 빠진 무상감이 드러남
-수미상관 구조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난이대 - 하근찬 (7) | 2024.10.10 |
---|---|
고향 - 백석 (3) | 2024.10.04 |
토끼전 분석 - 작자미상 (4) (0) | 2024.09.20 |
토끼전 분석 - 작자미상 (3) (0) | 2024.09.19 |
양반전 - 박지원(2) (4) | 2024.09.19 |